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아한테크코스35

팀 프로젝트가 나에게 남긴 것 솔직하게 말하자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솔직하게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 초반에는 모르는 것에 대하여 솔직하게 말하는 연습을 하였다. 초반에는 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 대부분을 알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팀원들이 모두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얘기를 할 때 혼자 소외됨을 느꼈다. 시간이 지날수록 팀원들과 멀어지고, 팀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모르는 것에 대해 솔직하게 말하기 시작했다. 모르는 것이 아주 많을 지라도 계속 모르는 것에 대해 물어보았다. 이렇게 하고 나니 팀에 조금 가까워질 수 있었지만, 팀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고 팀원들이 귀찮아할까 봐 눈치 보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팀원들은 본인들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나에게 설명을 .. 2022. 7. 31.
레벨3 팀 프로젝트 5주차 회고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 5주차 기간 동안에는 지난 4주간의 작업물을 리팩토링하는 시간을 가졌다. 테스트 코드를 제대로 작성하지 않다보니 서비스를 동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러가 발생했다. 레벨 1, 2 과정동안 테스트 코드의 중요성을 배워왔는데, 막상 프로젝트에서는 제대로 적용되지 않은 것 같아 많이 아쉬움을 느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이 아까워서 꼼꼼하게 작성하지 않았는데, 이로 인해 더 많은 시간을 날리게 되었다. 이 경험을 통해 기능을 빨리 구현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하는 일이지만, 테스트 코드를 더 꼼꼼하게 작성하는게 우선이다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더 강하게 자리잡았다. 너무 빠른 시간 벌써 5주차가 끝났다. 7월이 금방 지나가버렸다. 그만큼 몰입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2022. 7. 31.
레벨3 팀 프로젝트 4주차 회고 4주차를 진행하면서 많은 고민들이 생겨났다. 4주차 동안에 내가 팀에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 맞나? 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스스로가 너무 뒤쳐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는데, 결론은 집중력 문제였다. 이전까지는 나는 집중력이 좋다 라고 생각을 했다. 그러나 내가 관심있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력이 좋았던 것 같다. 잘 모르겠거나, 관심이 가지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집중력이 엄청나게 떨어지는 것을 느꼈다. 이 부분은 나보다 팀원들이 더 많이 느꼈을 것 같다. 그래서 데모데이가 끝나고, 팀원들과 술 한잔 하며 이야기를 나눌 때 이 이야기를 꺼내보았다. 팀원들은 나의 집중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고, 그렇지만 괜찮다고 말해주었다. 팀원들의 얘기를 듣고, 팀원들이 인.. 2022. 7. 24.
Github OAuth 로그인 구현하기 OAuth 기능을 구현한 이유? 우리의 서비스에서 직접적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여 회원 정보를 관리하고 사용하기보다는 이미 인증된 서비스에서 관리하는 회원 정보를 가져와 사용하기 위해서 OAuth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진행 과정 깃허브 공식 문서 테스트에 사용된 코드는 깃허브에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1. github settings -> Developer settings로 접근합니다. 2. New Github App을 클릭하여 새로운 Github App을 만듭니다. 3. App설정을 진행합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을 진행했습니다. 여기서 Callbak URL은 사용자가 깃허브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에 성공을 하면 깃허브 측에서 이동 시켜줄 URL입니다. 4. 사용자의 github ID.. 2022. 7. 16.
레벨3 팀 프로젝트 3주차 회고 짧은 단위로 세운 일정 지난 스프린트에서는 2주 단위의 계획을 세우고 실행했다. 2주 단위의 계획을 세우니, 너무 많은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세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신체적으로 매우 피로한 2주를 보내게 됐었다. 따라서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2주의 절반인 1주 단위의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기로 하였다. 짧은 단위로 계획을 세워보고 좋은 점들을 많이 느낄 수 있었다. 첫 번째,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1,2주차보다 더 적은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더 현실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그래서 팀원들이 조금 더 여유를 챙길 수 있었다. 두 번째, 계획 변경에 용이하다. 적은 계획만 세웠기 때문에 갑자기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쉽게 계획을 변경할 수 있었다. 큰 계획을 세워서 진행했을.. 2022. 7. 16.
레벨3 팀 프로젝트 2주차 회고 모르는 기술 사용하기 2주차는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을 진행했다. 2주차는 백엔드 4명이서 몹 프로그래밍으로 진행하였는데, 모두 알고 있는 지식의 수준이 달라서 맞춰가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JPA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나는 JPA를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팀원들을 따라가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정 주제에 대해 토론할 상황이 와도, 모르는 주제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었다. 이런 이유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조금이라도 시간이 생기면 JPA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었다. 그래서인지 다른 팀원들과는 달리, 애자일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보다 JPA 학습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 부분이 많이 아쉽다. 그래도 이제 어느정도 JPA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2주차 회고에서 팀원들 또.. 2022. 7. 9.
레벨3 팀 프로젝트 1주차 회고 팀 프로젝트 시작 우테코 레벨 3에 들어와서 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팀 프로젝트 주제는 모임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팀 명은 모樂(락)이다. 모임을 즐겁게 ~라는 뜻이다. 바쁜 일정 1주 차는 우테코 내부에서의 일정들이 많았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우리 팀은 열정이 넘쳐 최대한 많은 시간을 프로젝트 셋업에 갈아 넣었다. 우리는 거의 매일 10시까지 회의를 진행했다. 그래서 그런지 주말에 피곤함을 많이 느꼈다. 팀 분위기 팀 분위기는 매우 좋다. 매일매일 돌아가며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데, 팀원들 모두가 본인의 역할에 열심히 임한다. 이로 인해 모두가 동등한 위치에서 프로젝트에 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직까지 프로젝트 셋업만 진행하여 마찰이 없었기 때문.. 2022. 7. 2.
스프링 MVC 구조 파악하기 스프링 MVC의 핵심 구성 요소 간단 요약 1. DispatcherServlet은 모든 연결을 담당한다. 2. DispatcherServlet은 요청이 들어오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찾기 위해 HandlerMapping 빈에게 검색을 요청한다. HandlerMapping빈은 요청을 처리할 컨트롤러 빈 객체를 DispatcherServlet에 전달한다. 3. DispatcherServlet은 HandlerAdapter 빈에게 컨트롤러 요청 처리를 위임한다. 4-6. HandlerAdapter빈은 컨트롤러를 통해 요청을 처리하고 ModelAndView라는 객체로 변환해서 DispatcherServlet에게 리턴한다. 7. DispatcherServlet은 ModelAndView 객체안의 view .. 2022. 6. 1.
빈 스코프 - prototype 스프링5 책 내용 간단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는 초기화와 종료라는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그리고 빈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라이프 사이클: 빈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빈 객체 초기화 (지정된 메서드 호출) -> 컨테이너 종료 시 빈 객체 소멸 처리 (지정된 메서드 호출) 빈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 :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초기화 -> 소멸 빈 객체의 관리 범위 1. 싱글톤 (default) :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싱글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2. 프로토 타입 : 빈 객체를 구할 때 마다 새로운 객체 생성한다. 싱글톤일 때 @Configuration.. 2022.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