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5 책 내용 간단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는 초기화와 종료라는 라이프 사이클을 가진다. 그리고 빈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라이프 사이클:
빈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빈 객체 초기화 (지정된 메서드 호출) -> 컨테이너 종료 시 빈 객체 소멸 처리 (지정된 메서드 호출)
빈 객체의 라이프 사이클 :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초기화 -> 소멸
빈 객체의 관리 범위
1. 싱글톤 (default) :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싱글 스코프의 빈을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항상 같은 인스턴스의 스프링 빈을 반환한다.
2. 프로토 타입 : 빈 객체를 구할 때 마다 새로운 객체 생성한다.
싱글톤일 때
@Configuration
public class WootecoContext {
@Bean
public Student student1()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setName("잉");
return student;
}
}
main에서 실행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WootecoContext.class);
final Student student1 = ac.getBean("student1",Student.class);
final Student student2 = ac.getBean("student1", Student.class);
System.out.println(student1 == student2); // true
System.out.println("student1 : " + student1.getName()); // 잉
System.out.println("student2 : " + student2.getName()); // 잉
}
}
prototype으로 스코프 변경
@Bean
@Scope("prototype")
public Student student2()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setName("썬");
return student;
}
결과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WootecoContext.class);
final Student student1 = ac.getBean("student2",Student.class);
final Student student2 = ac.getBean("student2", Student.class);
System.out.println(student1 == student2); //false
System.out.println("student1 : " + student1.getName()); //썬
System.out.println("student2 : " + student2.getName()); //썬
}
}
스프링에서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한다. (관리 안해줌)
따라서 프로토타입 빈은 조회한 클라이언트가 직접 종료해야한다.
컴포넌트 등록 시에도 @Scope를 사용하여 스코프 설정 가능
@Scope("prototype")
@Component
public class Student {
간단한 문제
public class Student {
private String name;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
public class Wooteco {
private Student student;
public Student getStudent() {
return student;
}
public void setStudent(Student student) {
this.student = student;
}
}
@Configuration
public class WootecoContext {
@Scope("prototype")
@Bean
public Student student()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setName("잉");
return student;
}
@Bean
public Wooteco wooteco() {
Wooteco wooteco = new Wooteco();
wooteco.setStudent(student());
return wooteco;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WootecoContext.class);
final Wooteco wooteco1 = ac.getBean(Wooteco.class);
final Wooteco wooteco2 = ac.getBean(Wooteco.class);
System.out.println(wooteco1 == wooteco2); // 1번
System.out.println(wooteco1.getStudent() == wooteco2.getStudent()); // 2번
}
}
1번 2번은 각각 어떤 결과가 나올까?
...
정답은 true, true
싱글톤 빈으로 등록된 Wooteco에서 가지고 있는 student는 이미 과거에 주입이 끝난 빈이다 !
이런 식으로 싱글톤 타입과 프로토타입을 함께 사용하면 원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싱글톤 빈과 프로토타입을 함께 사용 시 문제 해결
간단한 방법으로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을 사용할 때 마다 스프링 컨테이너에 새로 요청한다.
스프링의 ObjaectProvider를 이용하자
@Configuration
public class WootecoContext {
@Scope("prototype")
@Bean
public Student student()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setName("잉");
return student;
}
@Bean
public Wooteco wooteco() {
return new Wooteco();
}
}
public class Wooteco {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Student> objectProvider;
public Student getStudent() {
final Student student = objectProvider.getObject();
return student;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WootecoContext.class);
final Wooteco wooteco = ac.getBean(Wooteco.class);
final Student student1 = wooteco.getStudent();
final Student student2 = wooteco.getStudent();
System.out.println(student1 == student2); // false
}
}
위와 같이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주입(DI) 받는게 아니라 직접 필요한 의존 관계를 찾는 것을 의존관계 조회(Dependency Lookup (DL))이라 한다. ObjectProvider 는 DL 기능을 제공한다.
그렇다면 프로토타입 빈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
싱글톤의 경우 객체를 1개만 생성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Web 같이 여러 명이 같은 객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태를 가지는 객체의 경우, 여러 사람이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상태를 가지는 객체를 빈으로 등록하고 싶으면 Scope를 Prototype으로 바꿔서 사용해야한다.
그러면 요청할 때 마다 Bean 객체가 생성되어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직접 사용할 일은 드물다고 함.
'우아한테크코스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스트 코드에 대한 나의 생각 (0) | 2022.08.16 |
---|---|
스프링 MVC 구조 파악하기 (5) | 2022.06.01 |
적시에 방어적 복사본을 만들라 (0) | 2022.04.04 |
제네릭과 가변인수를 함께 쓸 때는 신중하라 (0) | 2022.04.01 |
태그 달린 클래스보다는 클래스 계층구조를 활용하라 (0) | 2022.03.29 |
댓글